외용 남성형 탈모약을 넘처나게 사용할 경우, 약물유해반응이 생길 수 있어 신경써야 한다.
탈모 병자가 늘수록 탈모치료제에 대한 관심 또한 늘고 있다. 특이하게 남성형 탈모의 경우, 20·30대를 비롯한 전체 환자 수가 꾸준히 증가하면서, 의사 처방 없이 일반의약품을 구매·처방하는 사례도 늘어났다. 문제는 일반의약품으로 나온 외용 여성형 탈모치료제를 사용할 경우 높은 효능을 기대해 약을 과도하게 바르거나, 부작용, 조심해야 할 약물 등을 고려하지 않은 채 사용하는 때가 적지 않다는 점이다. 외용 남성형 탈모치료제(일반의약품) 사용 주의사항에 대해 알아본다.
여성형 탈모 치료제는 모낭에 작용해 모발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래 혈관 확장제로 고혈압 치료에 사용됐으나, 임상 과정에서 복용 후 머리, 팔, 다리 등에 털이 자라는 것이 검사돼 발모제로 만들어 사용하게 됐다. 그래서 심혈관계 질병, 특이하게 저혈압이 있다면 간단하게55 사용하지 말고, 사용할 경우 의사·약사 상담을 거치도록 한다.
외용 남성형 탈모치료제는 외용 코르티코이드, 레티노이드, 바셀린, 디트라놀, 경피 흡수를 향상시키는 약물 등과 함께 복용하지 않도록 신경써야 한다. 특별히 혈압약 중 구아네티딘 제제를 실데나필 해외구매대행 병용하면 기립성 저혈압을 야기할 수 있다. 이밖에 혈압약 등 다른 약물이나 영양제, 한약 등을 복용하는 경우에도 의사·약사에게 약 복용 사실을 미리 알리고, 다른 외용 피부약은 동일한 부위에 함께 사용하지 않는 게 좋다.
약을 사용할 때는 우선 처방하는 부위를 완전히 말린 후, 손을 청결하게 씻은 상태에서 권장량을 뿌리거나 바르도록 한다. 약물 특유의 끈적거림과 냄새가 생길 수 있으므로, 취침 2~4기간 전 사용이 권장된다. 반드시 두피에만 사용하며, 정확한 권장 용법·용량을 준수해야 한다. 간혹 즉각적인 효과를 보기 위해 많이 또는 자주 약을 바르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거꾸로 약물유해현상 위험을 높일 수 있다.
외용 여성형 탈모치료제 사용 후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에는 *사용 부위의 화끈거림 *가려움 *발적 *설사·구토 *흉통 *현기증 등이 있다. 또 얼굴이 부풀거나 심장 박동이 빨라질 수 있고, 탈모 증상이 심해지는 경우도 있다. 약 사용 후 이처럼 증상을 보인다면 사용을 중단하고 병원을 방문해 분명한 진단을 받도록 한다.